본문 바로가기
질병의종류

틱장애 증상과 치료방법

by 뽐사장 2023. 8. 25.

틱장애란 갑작스럽고 빠르며 반복적이고 비율동적인 동작이나 음성을 말합니다 틱장애는 아이들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인데요 전체 아동의 10~20% 정도 일시적으로 틱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틱장애증상과 치료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틱장애
틱장애

틱장애는 자신의 의지와 전혀 상관없이 무의식적으로 특정행동을 반복하는 질환입니다 운동틱과 음성틱으로 구분되는데 이 두 가지 모두 나타나면서 전체 유병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 뚜렛병(Tourette’s Disorder)라고 하며 아이들이 특별한 이유 없이 자신도 모르게 얼굴이나 목, 어깨, 몸통 등의 신체 일부분을 아주 빠르게 반복적으로 움직이거나 이상한 소리를 내는 것을 말하는데 눈깜박임, 눈동자 굴리기, 코 찡긋거리기, 입 삐죽 내밀기, 고개 끄덕이기, 머리 흔들기, 턱 괴기, 팔·다리 떨기, 배 꿀렁이기, 손가락 빨기, 손톱 물어뜯기, 헛기침하기, 킁킁거리기, 침 뱉는 소리 내기 같은 행동들을 보입니다 이러한 틱장애증상은 7~11세 사이의 학령기 아동에게서 매우 흔하게 나타나며 여아보다는 남아에게 많이 발생하며 초등학교 입학 무렵 또는 새 학기 초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틱장애 원인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요인, 뇌의 구조적/기능적 이상, 호르몬, 출산 과정에서의 뇌 손상이나 세균감염과 관련된 면역반응 이상 등이 틱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밖에도 학습 요인, 심리적 요인 등이 틱의 발생과 악화에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주 가벼운 일시적인 틱은 주위의 관심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 강화되어 나타나거나, 특정한 사회적 상황과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족이 틱의 증상을 오해하고 창피를 주거나 벌을 주어서 증상을 제지해 보려고 한다면 아이는 정서적으로 불안해져 증상이 오히려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부모는 아이의 틱 증상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뇌의 이상 뇌가 성장하는 도중 뇌의 미세한 운동조절기능의 문제로 발생
심리적 요인 심리적으로 공포나 불안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 아이들은 틱장애가 생길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큽니다
환경적 요인 어린 아이들은 타인의 행동이나 말들을 아무 생각없이 따라하는것이 습관적으로 몸에 베이게 되면 틱으로 발전할수 있습니다 이런 틱은 아이가 자라면서 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뚜렛 증후군 틱장애가 1년 이상 지속되면 근육틱과 음성틱을 동반하는 뚜렛증후군으로 발전이 되며 이는 ADHD,강박증,우울증,학습장애등을 동반할수 있습니다

틱장애증상

틱장애는 근육틱과 음성틱이 있습니다  틱장애는 고의로 그러는 것이 아니므로 아이가 그런 행동을 할 때 화를 내거나 나무라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아이가 틱증상이 나타날 때는 빠른 병원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근육틱 눈깜박거림,얼굴 징그림,머리흔들기,입내밀기,어깨들썩이기
복합근육틱  자해하기,제자리에서 뛰어오르기,타인이나 물건을 만지기,물건던지기,손냄새맡기,남의행동 따라하기,자신의 성기부위 만지기,외설적인 행동따라하기
단순음성틱 킁킁거리기,가래뱉는소리내기,기침소리내기,빠는소리내기
쉬소리내기,침뱉는소리 내기
복합음성틱 욕설 또는 남의말 따라하기

틱장애 치료방법

틱장애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치료, 행동치료, 신경수술적 처치등이 있습니다 틱장애가 심하지 않은 경우 틱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을 제거하며 스트레스해소를 위해 적당한 운동 등으로 치료합니다 그 후에도 좋아지지 않으며 약물치료로 도파민 수용체 길항제라는 약물을 사용하는데 효과가 좋은 편입니다 하지만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부작용 또한 존재하므로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처방받아야 합니다 다음으로 행동치료는 이완훈련, 습관반전 등의 기법을 활용해서 시행되며 대개 장기간 지속해야 효과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신경수술적 처치는 심한 만성 틱 장애나 뚜렛병의 경우 시행될 수 있으며, 시상핵 파괴술, 피질-선조체 절제술 등 다양한 수술기법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틱장애예방 수칙 및 생활 가이드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지나친 스트레스나 긴장상황 피하기
스마트폰, 컴퓨터게임, TV시청 줄이기
취침시간 일정하게 유지하기
균형잡힌 영양섭취하기
규칙적인 운동하기

마치며

오늘은 틱장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자녀가 틱장애가 의심된다면 평상시  주의 깊게 관찰하셔서 초기에 병원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라며 어린아이들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규칙적인 생활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