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는 눈 안쪽 위치한 근육인 상사근과 하사근 사이의 길이 차이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두 근육 중 한쪽이라도 비정상적으로 발달하면 안구가 안으로 몰리게 되는데 이를 사시라고 합니다 사시자가테스트, 사시렌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시는 유전성이 강한 질환이며 가족력이 있으면 약 70% 이상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부모 모두에게 사시가 있다면 자녀에게서 나타날 확률은 90% 이상이라고 합니다 전 세계 인류의 4% 정도에서 발생하며 소아의 경우 4% 정도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아래에서 사시 자가테스트와 사시렌즈 등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시 원인
사람의 눈은 원래 약간씩 돌아가있는 상태라고 합니다 그래서 사물을 볼 때 정상적으로 보이게 되는데 만약 안구운동장애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해 정면을 바라볼 때 한쪽 눈의 시선이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치우쳐져 있는 상태를 사시라고 부릅니다 사시는 유전성이 강해서 부모 중 한 명이 사시인 경우 자녀에게 나타날 확률이 약 50%이며, 양안 모두 발생할 확률은 약 25% 라고 하며 그 외 원인은 다양합니다 그러나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원인을 밝혀낸 경우는 일부분이라고 합니다 어린아이의 경우 보통 6세 정도 되면 성인의 시력에 도달한다고 하며 소아사시의 경우 정면을 보는 눈을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시력이 정상적으로 발달가능하지만 사시인 눈은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시력발달이 되지 않아 약시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약시는 치료시기가 빠를수록 성공률이 높아진다고 하니 자녀가 있으신 분은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게 좋습니다
해부학적 원인 | 외상에 의한 안와의 골절,선천성 안와 기형,두개골모양의 이상,갑상선 질환으로 인한 사시,외안근의 구조적 이상에 의한 사시 |
신경학적 원인 | 3번 뇌신경,4번 뇌신경,6번뇌신경 마비,근무력증,듀안안구후퇴증후군,핵간마비 등에 의한 사시 |
유전적 원인 | 사시는 사시자체의 유전보다 사시가 발생할수 있는 요인이 유전된다고 합니다 30%정도 유전적 원인으로 나타나며 쌍둥이의 경우 사시가 함께 발생한다고 합니다 |
사시 종류
선천성 사시 | 태어날때부터 발생 |
유아성 사시 | 생후 6개월 이내 발생 |
수평사시(내사시,외사시) | 눈동자가 안쪽으로 몰리는 경우 눈동자가 밖으로 나가는 경우 |
수직사시(상사시,하사시) | 눈동자가 위로 올라가는 경우 눈동자가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 |
일차성사시,이차성사시 | 일사성사시-원인을 알수없으며 대부분 사시환자들은 일차성 사시 입니다 이차성사시-한쪽눈이 실명되어 생기는 감각 사시,수술 후에 발생하는 속발사시의 경우 |
마비사시,비마비사시 | 신체의 명확한 마비나 외상에 의해 발생 마비에 의해서 발생하지 않았다면 비마비사시입니다 |
조절성사시,비조절성사시 | 조절이란 근거리를 볼때는 눈에 있는 모양체근이 수축하면서 수정체가 두꺼워져 굴절력이 상승하는 생리적 현상입니다 이 조절과 연관된 사시를 조절성사시라고 하며 조절과 상관없이 나타나는경우 비조절성사시라고 합니다 |
항상성사시,간헐성사시 | 항상성은 사시가 항상 발현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간헐성은 간헐적으로 사시가 되는 상태입니다 |
사시 자가테스트
아래 표의 증상들이 나타난다면 사시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머리를 돌리거나 기울였을때 시선을 유지하는 것이 더 편하다 |
상대방과 눈을 맞추고 대화하는 것이 어렵다 |
약 30cm~50cm정도 거리에서 눈에 불빛을 비추었을떄 반사된 빛이 양쪽 눈동자 가운데에 맺히지 않고 비대칭적으로 맺힌다 |
복시현상(물체가 두개로 보이는 현상) |
눈동자가 흔들린다 |
눈을 자주 비빈다 |
햇빛이 강할때 한쪽 눈을 감는 것이 편하고 밖에 나갔을떄 눈을 과도하게 찡그리게 된다 |
사시치료
안경착용 근시, 난시, 원시가 있으면 안경을 착용해야 하며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 매일 착용해야 합니다 조절내사시인 경우 이 방법만으로도 사시가 교정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약시치료는 눈을 사용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을 눈을 가려 약시 안을 강제로 사용하게 하여 시력을 회복시키는 치료입니다 하루 중 일정시간또는 일주일 중 수일을 정상시력의 눈을 여러 겹의 안대로 막아줍니다 약시의 경우 가림치료 외에는 치료방법이 없습니다
수술적 치료 위의 두 가지 치료가 끝난 후에 눈이 많이 돌아가 있는 경우 사시교정수술이 필요합니다 수술 직후엔 거의 100% 가까이 재발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줄어들어 10년 이내로는 5% 이하로 떨어집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높은 재발률을 보이고 있으며 재수술 환자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안경 착용 등 비수술 치료방법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고 실제로 효과도 좋다고 합니다
마치며
사시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수술적 치료보다는 비수술적 치료로 꾸준하게 치료하는 게 더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사시 증상이 나타난다면 빠른 시간에 병원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질병의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틱장애 증상과 치료방법 (0) | 2023.08.25 |
---|---|
게실염 원인과 증상,대장게실염치료 (1) | 2023.08.20 |
수면무호흡원인과 치료 (0) | 2023.07.26 |
녹내장 백내장,녹내장원인과 치료 (0) | 2023.07.23 |
원형탈모원인과 치료 (0) | 2023.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