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이란 잠을 자는 동안 호흡이 멈추는 증상으로 숨을 쉬지 않는 시간이 10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 무호흡이라 정의하며 이런 상태가 1시간에 5회 이상 발생하면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됩니다 수면무호흡원인과 치료를 알아보겠습니다
수면시간 동안 무호흡이 일어나는 경우 수면무호흡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무호흡이 일어날 경우 잠에서 깨어나면서 다시 호흡을 시작하며 보통 잠에서 깨어난 것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숙면을 방해하는 수면무호흡증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이란
잠을 자면서 반복적이거나 가끔 1시간에 여러 번 무호흡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수면무호흡이 있는 경우 코를 크게 고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많은 시간 수면을 취해도 낮에 피곤함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이런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하지 않는 경우 고혈압, 뇌졸중, 심장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코골이 또한 수면무호흡증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며 심한 코골이로 인해 옆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악영향을 끼칩니다
수면무호흡 원인
가장 일반적인 유형으로는 폐색성 수면 무호흡이라고 합니다 폐색성수면무호흡의 경우 수면하는 동안 근육이 이완되면서 인후가 닫히는 경우 발생하기 때문에 구강과 인후 뒷면이 좁은 사람은 폐색성 수면무호흡에 걸릴 확률이 더 높습니다
수면무호흡의 원인 |
짧고 굵은 목과 둥근머리 |
혀,인두편도,편도가 보통보다 큰 경우 |
과체중 |
남성 |
갑상선기능저하증(갑상선기능부전) |
수면제나 진정제 복용 |
음주 |
수면무호흡증 증상
수면무호흡의 경우 본인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같은 방에서 수면하는 다른 사람에 의해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를 곤다고 해서 다 폐색성 수면 무호흡증이라고는 볼 수 없지만 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코를 골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아래 수면무호흡 증상을 알아보겠습니다
수면 무호흡증 증상 |
숨이 멈추는 소리,헐떡거리거나 그르렁거리는 소리 |
한번에 10초 이상 무호흡 |
잠자리에서 뒤척임이 심함 |
기상할때 두통이 나타남 |
낮시간에 졸리고 힘이 없음 |
집중력이 떨어지고 머리가 멍함 |
매우 큰 코골이 |
위의 증상들이 나타나는 경우 이비인후과에 방문하셔서 수면다원검사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특히 남성의 경우 위 증상들을 방치 시 10년 내 사망률이 3배 가까이 이른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잠이 부족하게 되면 뇌졸중, 인지기능 저하등 뇌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의 증상이 심할수록 뇌졸중, 알치하이머병 등과 관련된 백질과 집중이 증가했으며 깊은 수면비율이 감소할수록 백질과 집중의 노화가 빨라진다고 합니다
수면무호흡 자가진단
자가진단 체크리스트를 통해서 간단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아래 항목들을 보시고 해당되는 사항이 있다면 병원에 방문하셔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수면무호흡 자가진단 |
자고 일어나면 입 안이 말라있다 |
아침에 일어났을 때 두통이 있다 |
낮에 심하게 졸리다 |
밤에 자다가 화장실을 자주 간다 |
집중력이 떨어진다 |
예민해지고 짜증이 늘었다 |
우울감이 느껴진다 |
자도자도 피곤하다 |
수면무호흡증 치료방법
우선 체중감량 및 규칙적인 운동이 필수입니다 병원치료로는 수면다원검사를 하게 됩니다 코골이나 수면무호흡과 같은 수면질환의 원인과 증상을 파악하는 검사인데요 여러 센서를 몸에 붙인 후 병원에서 하룻밤을 보내면서 진행하는 검사입니다 그리고 양압기라는 의료기기를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마스크를 착용하고 잠들면 공기압력이 주입되어 막힌 기도를 열어주는 원리로 치료하며 수술치료 역시 있지만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양압기 건강 보함 적용 대상자는 중등도 이상의 수면무호흡증이면서 아래 조건 모두 충족 시 급여대상자로 등록됩니다
- AHI 15 이상 또는 무호흡/저 호흡 지수(AHI) 5 이상인 경우
- 불면증, 주간졸음, 인지기능 감소, 기분장애, 고혈압, 빈혈성 심장질환, 뇌졸중 기왕력, 산소포화도 85% 미만 중 한 가지라
도 해당될 경우 저렴한 금액으로 대여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마치며
수면무호흡증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약 40%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다는 뜻이겠지요 대표적으로는 비만과 노화라고 하니 평소 건강관리를 규칙적으로 하시길 바랍니다
'질병의종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실염 원인과 증상,대장게실염치료 (1) | 2023.08.20 |
---|---|
사시 자가테스트,사시렌즈 (0) | 2023.07.26 |
녹내장 백내장,녹내장원인과 치료 (0) | 2023.07.23 |
원형탈모원인과 치료 (0) | 2023.07.23 |
혓바늘원인,알보칠 (0) | 2023.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