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의종류

탈모치료와 탈모약부작용

by 뽐사장 2023. 3. 11.

안녕하세요 예전에는 여자는 대머리가 없다는 말이 무색하게 요즘은 여성분들도 탈모로 인한 스트레스가 심한데요 오늘 탈모치료와 탈모종류 그리고 탈모약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탈모
탈모

탈모치료와 탈모약부작용

하루에 머리카락이 100개 정도 빠지는 현상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하는데요 그 이상 머리카락이 빠지거나 머리카락이 얇아진다면 탈모치료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이전에는 보통 나이가 들어가면서 노화로 인한 탈모라고 생각했지만 요즘은 연령 상관없이 전 연령층에 원형탈모나 휴지기탈모 그리고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탈모종류

원형탈모 다양한 크기의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탈모반이 발생하는 점이 특징인데요 머리카락이 전부 빠져버리면 온머리탈모증 그리고 전신의 털이 빠지면 전신탈모증으로 구분합니다
휴지기탈모 스트레스를 받은 모낭이 정해진 생장기간을 다 못채우고 모발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빠지는 탈모입니다
남성형탈모 이마와 머리털의 경계선이 뒤로 밀리고 양측 측두부쪽으로 엠자모양으로 이마가 넓어지며 정수리 부위도 빠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여성형탈모 이마의 모발선은 유지가 되지만 머리 중심부인 정수리부분의 모발이 가늘어지고 머리숱이 적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탈모치료자가진단

하루동안 빠지는 모발의 갯수가 100개 이상인 분
뒷머리 모발과 정수리 모발의 차이가 큰분
머리카락이 가늘고 힘이 없는분
전에 비해 두피가 잘 보이고 이마가 넓어지신분

원형탈모치료는 국소 스테로이드제제나 전신스테로이드제제 또 면역요법등이 있습니다

휴지기탈모는 탈모원인이 제거되면 회복되므로 검사를 통해 탈모의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남성형 탈모와 여성형 탈모 치료는 잘 알려진 미녹시딜(두피 혈관확장제)처럼 바르는 약과 피나스테리드(프로페시아), 다타스테라이드 등의 먹는 약 그리고 모발이식술 등이 있습니다 

탈모약

미녹시딜 먹는 미녹시딜과 바르는 미녹시딜이 있는데요 바르는 미녹시딜은 혈관을 확장시켜 혈약순환을 돕지만 머리카락에 영양을 주는건 아니기 때문에 영양분없이 바르기만 한경우 오히려 머리카락이 빠지는 쉐딩현상이 나타납니다 
먹는 미녹시딜의 경우 부작용으로 다모증,두통,빈맥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기는 했지만 저용량의 먹는 미녹시딜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꽤 괜찮은 탈모치료약인것 같습니다 
*임신부.수유부는 금기약품입니다 먹는 미녹시딜의 경우 심혈관계,신장질활이 있으신 분들은 금기 입니다
피나스테리드 가임기의 여성은 만지거나 먹으면 안됩니다 태아가 남아일경우 기형아 출산 가능성의 심각한 부작용이 있습니다 
남성들에게도 부작용이 있는데요 
-발기부전,근육약감소
-우울증,자살충동
새로운 모발을 자라게 하는 약이 아니라 탈모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약입니다
판시딜 탈모가 심하지 않은 분들 또는 여성분들 그리고 머리카락을 잘 지키시고 싶은 분들이 많이 드시는데요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할수 있으며 성분은 맥주효모성분입니다 약이라기 보다 머리카락 영양제로 보는게 좋습니다

이 글을 마치며

탈모와 관련질병으로는 다낭성난소증후군, 갑상선기능이상, 영양결핍들이 있습니다 약을 먹는 것보다는 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통하여 몸 안에 부족한 영양소를 채워주고 원인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노화나 외모개선의 목적은 실비에서 보상받을 수 없지만  지루성탈모, 스트레스성탈모(L63 원형탈모증, L65,0 휴지기탈모)는 실비가 가능하다고 하니 처방전에 해당코드로 나오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실비를 청구할 때는 영수증, 진료비세부내역서, 질병코드가 들어간 진단서, 의사의 소견서 등이 필요합니다